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C2 생성
- 스프링 게시판
- AWS Route53
- ubuntu 배포
- JPA연관관계
- AWS VPC
- Loard Balancer
- aws ec2
- AWS
- AWS NAT gateway
- 몽고DB
- MongoDB
- VPC EC2
- codepreosso
- MongoDB Reference
- SpringProject
- EC2 배포
- AWS #CloudTrail #AWS로그
- MongoDB DataModel
- Datamodel
- Amazon Web Service
- AWS 요금
-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 AWS NAT
- MongoDB 참조
- SrpingBoot
- 레디스설치
- 코드프레소
- AWS CloudTrail
- codepresso
- Today
- Total
목록AWS (5)
정환타 개발노트

이번에는 AWS Route53을 기존의 웹서버와 연결 할 것이다. Route53은 기본적으로 DNS를 제공한다. DNS란 Domain Name System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속하는 네이버, 티스토리 등은 원래 xxx.xxx.xxx.xx와 같은 Public IP 이지만 DNS를 이용해 naver.com,tistory.com 과 같이 IP주소가 아닌 흔히 아는 주소(도메인)로 접속할 수 있게하는 시스템이다. 쉽게 말해 도메인과 Public IP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Route53은 도메인만 연결해주는 것 뿐 아니라, 트래픽을 정상적인 엔드포인트로 라우팅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 등의 리소스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도메인 등록 1.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도메인을 등록하는 것이다..

CloudTrail 첫번째 AWS 포스트로 ClourTrail을 사용하여 AWS 인프라 계정활동과 관련 작업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필자의 S3 버킷에는 계정활동에 관련된 로그들이 계속 쌓이게 되었고 CloudTrail 콘솔에서도 관련 로그를 확인 & 다운로드(.csv)할 수 있었다. (그러나 S3 버킷의 프리티어 사용량이 넘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중지를 하려 한다.) 관련된 로그에 대하여 필자는 파일로 다운을 받아 확인을 하였다. 로그파일 살펴보면 Event ID, time을 확인 할 수 있고 Username에서 확인을 해보면 ELB와 같이 자동으로 관리를 해주는 서비스가 했던 흔적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Event name에서는 발생한 이벤트 이름이 저장되어있으며 사용한 Re..

VPC 구성, 웹서버, DB서버 구축이 끝났다면 ELB를 생성할 것 이다. Load Balancing 로드밸린싱 기술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하나 이상의 서버 혹은 장비로 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로드밸런싱은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부터 사용해왔으며, 로드밸런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라고한다. 로드밸런싱을 통해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많은 인터넷 트래픽을 여러 웹 서버나 장비로 부하를 분산처리할 수 있다. 핵심은 분산처리 기술이다. 우리의 웹서버로 많은 트래픽이 발생한다면 기본적으로 구성된 서버는 트래픽이 많아 질 수록 부하를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래픽 증가를 처리하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첫번째는 Scale-Up으로 CPU, 메모리, 디스크 등..

이전까지 Public 서브넷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NAT gateway를 만들었으며, Private 서브넷에 RDS DB 인스턴스를 생성하였다. 이번에는 우리가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웹서버를 동작시키기 위해 Project를 올리려 한다. (먼저 프로젝트를 git에 올렸다면, 바로 EC2에 접속을 하고 git에 업로드를 하지 않았다면 업로드를 하길 바랍니다.) EC2 접속 ec2 인스턴스에 접속을 할 때 대부분 ssh를 통해서 접속을 한다. (접속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다면 다음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됩니다.)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AccessingInstances.html?icmpid=docs_ec2_console https..

이전 글에서는 우리가 만든 public 서브넷 안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였다. 이번에는 우리의 웹서비스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AWS RDS를 이용해 생성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외부 접속 차단을 위해 VPC 내부의 private 서브넷 안에 위치할 것이고, Mysql 5.x 버전을 사용한다. 자, 그럼 RDS 생성을 시작하기에 앞서 파라미터 그룹과 서브넷 그룹을 먼저 설정 두가지를 먼저 선행하겠다. 파라미터 그룹 1. [서비스] -> [RDS] -> [파라미터 그룹]에서 [파라미터 그룹 생성]으로 들어간다. 2. 필자는 MySQL을 사용할 것 이기에,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를 mysql5.7로 선택하고 그룹이름과 설명을 채운다. 3. 추가적으로 옵션 그룹을 생성해서 특정 DB 인스턴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