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레디스설치
- JPA연관관계
- EC2 배포
- AWS #CloudTrail #AWS로그
-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 몽고DB
- SpringProject
- Loard Balancer
- AWS NAT gateway
- AWS
- AWS NAT
- VPC EC2
- MongoDB DataModel
- AWS Route53
- MongoDB
- Datamodel
- 코드프레소
- SrpingBoot
- ubuntu 배포
- MongoDB 참조
- EC2 생성
- aws ec2
- MongoDB Reference
- AWS VPC
- 스프링 게시판
- codepresso
- Amazon Web Service
- codepreosso
- AWS 요금
- AWS CloudTrail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레디스 (1)
정환타 개발노트

Redis 설치 레디스를 우분투 서버에 설치를 하려한다. EC2에 우분투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어서 레디스 서버로 활용을 하려고 하는데, 서버 환경을 변경할 수 있으니 기록하는 습관이 익숙해지도록 작성을 해보겠다. 1. SSH로 접속후 apt update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2. apt를 이용하여 redis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redis-server 3. Redis 메모리 할당. 1. vmstat를 이용하여 서버의 메모리 확인 vmstat -s 필자는 사용가능 메모리가 1GB이다. 따라서 각자의 메모리 환경에 맞게 redis설정 파일에서 maxmemory를 지정한다. sudo vim /etc/redis/redis.conf v..
Dev-Database/NoSQL
2020. 1. 29. 18:56